본문 바로가기
업무

충용기호 및 공무원 인사기록 카드 작성요령

by 말씀길 2024. 2. 16.
728x90
반응형

▣ 교육공무원 인사기록카드 작성요령 ▣

<교육공무원인사기록카드>는 공무원의 모든 사항을 나타내며 교육공무원으로 임용되어 퇴직 시까지 사용됨은 물론 퇴직 후에도 영구 보존되는 문서이므로 사실대로 정확하게 기재되어야 하기에 작성요령에 따라 정자로 정성껏 기록합니다.

인사기록카드는 흑색 수성펜을 사용하여 기재합니다.

◦ 인사기록카드의 기록은 확실하고 정확하게 합니다.

◦ 본인 성명은 한글과 한자로, 주소(연필로 기재) 및 인명은 한자로 쓰고 나머지는 한글로 기입합니다.

1. 갑지

(갑-2)

1) 분류번호 : 기재하지 않습니다.

2) 성명(한자) : 한자로만 기재합니다. (예시 : 洪吉童)

3) 주민등록번호 : 줄을 바꾸지 말고 기재합니다. (예시 : 700101-1234567)

4) 연금번호 : 기재하지 않습니다.

5) 성명(한글) : 한글 정자로만 기재합니다.(예시 : 홍길동)

6) 성별 : 한글로 기재합니다.(남 또는 여)

7) 주소 : 주민등록상의 주소를 한자로 기재하되, 연필로 기재합니다.

- ○○道(市), ○○市(郡), ○○洞(邑, 面)

(예) 江原道 春川市 後坪洞 ○○番地 (○○/○○) ← (통/반)

8) 생활근거지 : 강원도내는 시․군 명을 기재합니다.

타시․도는 ○○시․도명과 ○○시․○○군․○○구로 기재합니다.

(예시 : 도내 - 춘천시, 도외 - 경기도 안양시)

9) 병역관계 : 여자는 ‘해당 없음’ 란에 ○표로 표기합니다.

가. 미필자 : 미필 사유를 정확히 기재합니다.

(충용기호는 입영년도를, 체격등위는 신체검사 등위를)

나. 미필자 : 역종 - 제대자는 예비역, 보충역은 보충역으로 기재합니다.

군별 - 육군, 해군, 공군으로 기재합니다.

병과 - 보병, 수송, 행정 등으로 기재합니다.

계급 - 제대 당시 계급을 기재합니다.

군번 - 자신의 군번을 기재합니다.

입대, 제대연월일은 주민등록표와 일치되도록 기재합니다.

(학사장교와 3사 출신장교 등은 임관일을 입대일로 기재합니다.)

MOS - 주특기 번호를 기재합니다.

10) 개인신상관계 : 해당란은 모두 기재하고 관계없는 사항은 공란으로 둡니다.

가. 신체사항 : 소수점 한 자리까지 기재합니다..

(예시) 신장 - 173.5㎝, 체중 - 63.5㎏, 시력 - 좌(1.5), 우(1.2),

혈액형- ABO형식과 Rh형을 병기(A,Rh+),

11) 가족사항

가. 관계 : 조부, 조모, 부, 모, 형, 누나, 오빠, 동생의 순으로 기재합니다.

나. 성명 : 한자로 기재합니다.

다. 생년월일 : (예시) ‘77. 7. 30’ 등으로 약기합니다.

라. 직업, 직장, 직위 : (예시) 운수업, 강원운수, 영업과장 등을 기재합니다.

12) 학력 : 윗 란부터 초ㆍ중ㆍ고ㆍ대ㆍ대학원 순으로 기재합니다.

가. 기간 : 부터(입학 연월일) 까지(졸업 연월일)를 기재합니다.

(예시 : ‘99. 2. 23’ 등으로 약기)

나. 학교명 : 초․중․고는 학교명, 대학교는 ○○대학교 ○○○학과

(예) 강원대학교 사범대학 영어교육과 등을 기재합니다.

다. 학위 : 문학사, 이학사, 교육학사 등으로 기재합니다.

(갑-3)

⑫ 자격․면허 : 윗 란에 교원자격부터 기재합니다.

(예) (중등2정 물리) ○○대 제○○○호로 기재.

가. 교원자격 시행청은 ‘○○대학교 총장’으로 기재합니다.(직인 참조)

나. 교육 또는 전공과 관련 있는 것만 기재하고,

운전면허 자격 등 개인만을 위한 것은 생략합니다.

⑬ 외국어 해독 : 해당란에 기재합니다.

⑭~ 임용 후의 내용을 기재할 부분으로 기재하지 않습니다.

(“신규교사 직무연수”는 임용전 직무연수이므로 기재하지 않습니다.)

(갑-4)

~ 임용 후의 내용을 기재할 것으로 기재하지 않습니다.

“주의사항”을 반드시 읽고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기록사항 확인

가. 본인란 : 년 월 일은 기재하지 마세요. (최초 발령일자를 기록.)

직은 ‘교사’로 쓰고, 성명은 본인의 성명을 한글로 쓴 후 날인합니다.

나. 소속장 : 기재하지 마세요.(최초 발령지 교장 또는 임용권자가 기재합니다)

2. 을지

<을-1> (성명: ) - 본인 성명을 한글로 기재합니다.

승급기록

가. 호봉 : 최초 임용된 후부터 기재할 내용으로 현재는 기재하지 않습니다.

나. 호봉 획정근거 : 정식교사(사립포함) 경력은 제외하고, 기간제 교사,

학원강사, 기업체, 관공서 등의 경력을 기재합니다.

(반드시 경력증명을 제출한 것만 기재하고, 그외 란은 기재하지 말고 비워둡니다.)

<을-2>

경력 : 정식교사 경력을 기재하는 난이므로 임용된 후부터 기재하면 됩니다.

※ 부서 및 직위는 OO중학교 교사, OO고등학교 교사

발령청은 중등교사는 OO도(시) 교육감, 초등은 OO교육장,

사립은 OO학원(법인)이사장으로 기재한다.

※ 사립학교 근무 경력 등 기재될 경력 내용은 필히 경력증명서를 등록일에 지참 제출해야 합니다. 그리고 계약제교원 근무 경력은 기재하는 것이 아니므로 확인한 후에 기재하시기 바랍니다. 3. 병지

임용후 연수 학점화에 대한 내용을 기재할 사항으로 기재하지 않습니다.

다만 <병-1>의 (32)란의 상단에 있는 성명과 주민등록번호만 기재합니다.

반응형

댓글